왜냐하면, 밝은 별이 시야에 있을때, 각 필터별로 고스트나, hale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볼 수 있다.
물론 어두운 deepsky를 촬영할때, 시야에 이렇게 시리우스 처러 밝은 별이 없기때문에 평소에는 별 문제가 없는데
혹시나, 밝은 별을 시야에 넣고 촬영하게 되면, 그때서야 필터에서 혹은 광학계에서 만드어주는 고스트나 halo가 보이게 된다.
이렇게 보면 스파이더와 밝은 시리우스만 보이지만...
히스토그램을 스트레치 하면 아렇게 된다?
오마이~~
채널별로 나눠서 보면...
L 100초
R 100초
G 100초
B 100초
짧은 파장일수록 halo?가 더 심하게 나타난다.
일단 Astronomik 사에 문의 메일을 보낸 상황.
음... 오늘 Baader 필터로 다시 한번 찍어봐야겠다.
Sirius는 눈부시게 밝은거 맞다.
CCD camera에서 생겼든, filter 에서 생겼든...
너무 밝은 대상은... 힘들다. ㅎㅎ
2019년 4월 2일 저녁 관측...
'Astrophotography > Sta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silon Lyrae (0) | 2021.08.02 |
---|---|
Sirius (0) | 2019.01.23 |
Sirius (0) | 2019.01.23 |
Sirius A&B, Trapezium (0) | 2018.03.22 |
Sirius A & B (0) | 2017.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