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나 해서 해봤는데 되긴 됩니다.
결과물은, 가장 별상이 안좋은 녀석을 따라가기는 하지만...ㅎㅎ
화일명에서 알 수 있듯이...
좌상단 우상단
좌하단 우하단
Takahashi FCT-100+QHY268C Takahashi e-160+SBIG 8300M
Takahashi FSQ106ED+SBIG 8300M combine 된 결과물
우선 픽스 인사이트에서
각각 날짜가 다른 날에 촬영된 영상을 각각 합성하고...
얼라인먼트 기준을 FCT-100으로 촬영된 것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영상들을 정렬...
그리고 합성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센서가 더 큰 268C의 화각이 8300보다 저렇게 더 넓었구나... ㅎㅎ
아무튼 star alignment를 거친후의 영상이다.
화각이 돌아가 있던 픽셀 스케일이 다르던... 일단 정렬은 잘되고 컴바인까지...
각각의 별상을 보면
FCT100이 CCD 센서도 작은데 더 작은 별상을 보인다. ㅎㅎ
나머지 영상들은 초점불량이거나 시상이 안좋았던 것으로 치부를...ㅎㅎ
리샘플링?을 거친후의 영상을 비교해 보면...
왼쪽은 오리지널 데이터
오른쪽은 268c의 픽셀 스케일에 맞게 리샘플링된 영상
각각의 영상(얼라인먼트 하기전)의 plate solving을 해보면 아래와 같다.
FCT-100과 QHY 268c
FCT-100에 전용리듀서를 장착하면... x0.8 정도일줄 알았는데...
458mm로 줄어든다... 원래는 640mm
f/6.4를 f/4.58로...
e-160에 SBIG 8300M
초점거리는 539mm
원래 f/3.3인데 f/3.37 정도인 것으로...
FSQ106ED에 SBIG 8300M
이건 뭐...
원래 스펙상 530mm 인데... 측정치도 530.31mm
놀랍군...
어찌되었든, 초점거리와 CCD 픽셀 스케일이 달라도 적당히 합성되는 것을 확인 했으니
다음에는 mono로 L(Ha 등)을 촬영하고 RGB(컬러 CCD)를 촬영하면
하루에 촬영되는 데이터가 2배로 늘어날 듯...
가능하면 비슷한 초점거리와 비슷한 화각과 픽셀스케일을 조합을 해보면 될 듯!!!
아참... 결과물은 화각이 요란하게 겹쳐진다...ㅎㅎ
'News, Review,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팅 실수... (0) | 2021.04.20 |
---|---|
FCT-100 vs e-180ED (0) | 2021.04.14 |
음성 vs 영양 (0) | 2021.01.12 |
영양 밤하늘... (0) | 2021.01.12 |
목성-토성 만남...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