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Review, Tip...

pixinsight 이미지 처리

별사냥꾼 2018. 2. 6. 15:26


요며칠 베란다 테스트를 계속 하고 있어서

일관성 있는 이미지 처리를 해야할 것 같아서

나름 순서를 정해서 이것 저것 해보는 중



모든 image는 클릭하면 캡춰한 원본 크기로 확대됨



1. image integration이 끝난 상태에서 영상을 불러오면 거의 까만 영상만 나옴

우측 histogramtransformation에서 적당히만 대상이 보이도록 조정을 해줌





2. 그래도 영상이 잘 보이지 않아서, 한번더 histogram stretch 해줌



3. The Great Orion Nebula 같이, 밝은 대상과...그주변에 희미한 성운이 있는 경우

밝은 곳은 saturation, 어두운 곳은 거의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럴때 HDR(high dynamic range) 변환을 해주면 되는데,

대상의 크기와 밝기에 따라 trial error를 여러번 해보는 수밖에...정답은 없는 듯


아무튼 아래 변수들을 조정해서 HDR 영상을 만들면 아래와 같이 트라페지움 주변의 아주 밝은 곳을 제외하고는

어느정도 성운의 디테일이 보이기 시작한다.




4. 그다음 USM(unsharp mask)를 수행한다. 





5. 잘 쓰지는 않지만 별상이 좀 큰 경우, minimum filter 를 쓰기도 한다. 





6. 이렇게 하고나면 영상이 지져분해지기 때문에 노이즈 줄이기 기능을 사용한다.

아직 이것 저것 해보지 않아서 현재는 ACDNR을 사용한다. 




7. 마지막으로 히스토그램 스트레치를 한후 저장




위에서 설명한 영상들을 다시 확인해보면... 


합성한 영상을 불러와서, 히스토그램 스트레치 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여기서 HDR 기능을 수행하면 아래와 같이...




HDR parameter는 그냥 참고만... 



그이후 다시 히스토그램 스트레치 하면... 끝




pixinsight는 참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그 기능을 활용하고 손에 익을때까지, 참 많은 시도를 해보아야 할 것 같다. 




'News, Review,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통 테스트 report 2 - Takahashi FS-128  (0) 2018.02.09
경통 테스트 report 1 - Takahashi FSQ-106ED  (0) 2018.02.09
2018 Mars Opposition  (0) 2018.01.22
목성 동영상 처리  (0) 2017.05.22
ISS 금성 Transit  (0) 2017.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