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rumentations/Telescope

각종 리듀서들...test2

별사냥꾼 2018. 1. 19. 16:28



이번에는 촬영된 영상을 가지고 간단히 분석을 해보았다. 


수평 방향으로 plot을 해본 결과들이다. 


C14 + 5D





C14 + Celestron 0.63x + 5D




C14 + Meade 0.33x + 5D



C14 + ccd67 copy + 5D





FS128 + 5D





FS128 + ccd67 copy + 5D





위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가지고...플롯을 하면 아래와 같다. 




0.33x 리듀서는 이미지 써클이 정말 작다.


그다음 Celestron 0.63x 리듀서이고... 

CCD67 copy한 리듀서가 이미지 써클이 조금 더 넓은 편이다. 


full frame 에서는 비네팅이 그대로 남아있다. 




FS-128과 리듀서의 조합


약간의 이미지 써클이 작아지는 효과가 있지만... 


같은 노출시간일 경우 약 35% 정도의 밝기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미지 써클에 센서를 넣으면 이런 사이즈로 찍힌다. 

XE1에서는 약간의 비네팅이 발생 할 것으로 예상된다.




약간 짜게? 이미지 써클을 측정한다고 보면... 


C14 자체는 거의 FF 커버


C14+ 0.63x ~ 18mm

C14+ 0.33x ~ 11mm

C14+ CCD67 copy ~ 25mm



FS128 + CCD67 copy ~ 29mm


이제 별상을 봐야 하는데, 

날씨 참 안맑아진다. 


2018년 1월 17일... 

리듀서 몇개 테스트



'Instrumentations > Telesco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ade LX200R  (0) 2018.07.26
C14 출동!!!  (0) 2018.03.22
각종 리듀서들...test1  (0) 2018.01.19
Takahashi FS-128  (0) 2018.01.10
Celestron C14  (0) 2017.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