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rumentations 216

ε-180ED와 β-SGR 연결

베란다에서 NJP와 e-180을 테스트 하느라... 난장이다. ㅠㅠ; 일단 망원경쪽 어댑터는 있어서 기존 포커서를 떼어내고 조립을 해보았다. 다만 아직 카메라쪽 어댑터가 없어서 테스트는 못한다. 연결하면 이런 모양... 기존 포커서와 높이가 거의 비슷해서 아마 보정렌즈 장착하는 어댑터를 끼우고 조립하면 바로 초점이 나올 것 같긴 하다. 2021년 12월 31일... 닭카시는 어댑터 지옥... ㅎㅎ

Takahashi β-SGR for ε-180ED

Takahashi의 전동 포커서가 두가지 모델이 있는데, 180FL과 150FL이 있다. 180은 4인치 굴절 망원경 이상의 포커서를 가진 경통에 사용하고 150은 e-180 등의 반사망원경에 사용하는 것 같다. 아무튼, ε-180ED에 사용하기 위해 하나 구했다. system chart는 아래 takahashi homepage 에... https://www.takahashijapan.com/ct-products/chart/b-SGR2/E180ED_CD.pdf 구성품은 아래와 같다. 포커서 본체 컨트롤박스 케이블 설치 CD및 매뉴얼 카메라쪽 연결부 망원경쪽 연결부 컨트롤박스와 연결하는 컨넥터 2021년 12월 30일 이제 좀 쉽게 초점을 잡을 수 있을까???

Takahashi NJP Temma 2

Takahashi에서 소형 적도의로는 EM-1, EM-10, EM-11, EM-200 등등의 적도의가 보통 20kg 이하의 탑재중량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20 Kg이상을 탑재하는 적도의는 NJP, EM-400, EM-500 등등이 있고, 그이상은 천문대급 적도의 보통 EM-200을 기준으로 그냥 EM-200 EM-200B EM-200 USD EM-200 Temma EM-200 Temma 2 EM-200 Temma 2 Jr. PC, 2 M... 등등 무지 많은 모델로 그 명백을 유지해 오고 있다. 2019년에 잠시 빌려다가 NJP를 사용해본 적이 있다. https://astrohunter72.tistory.com/1307 현재 FST-135를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20kg 이상을 탑재할 경우 필요할..

Takahashi FCT-76용 리듀서

전에 구입했던게 불량?일까르는 불길한 생각에 하나를 더 구해보기로 했다. 정말 무성의하게 배송된...ㅎㅎ 겉으로 보기에는 멀쩡해 보이는데... 군데군데 곰팡이의 흔적이 사진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다... 스트로보를 터트리니 곰팡이의 흔적이 많다. ㅎㅎ 뭐 외관은 멀쩡... 곰팡이 청소를 위해... 분해 원래 모습을 기억해두기 위해 사진을 찍어두었다. 와... 마지막 렌즈(카메라쪽)는 저렇게나 가공을... 클리닝 후... 스트로보를 터트려도 곰팡이는 보이지 않는다. 오늘 온것... 기존 것 마지막 렌즈 코팅 색이 다르다...ㅎㅎ 푸른 빛이 나는게 기존에 구입했던 것 Ha filter 끼우고 플랫만 찍어보면 바로 알 수 있을 듯 2021년 8월 2일 FCT76을 한대 더 살까? ㅎㅎ

Cats Eye ?

고양이눈?? 굴절 망원경은 한번 광축을 점검하고 나면, 이동간에도 그리 렌즈셀이 틀어지지는 않고... 그런데, 뉴토니언이나 카세그레인 타입도... 사실 그렇게 광축이 많이 변하지는 않는다. 돕소니언의 경우 분해 조립을 하기 때문에, 매번 광축을 확인하고 조절하고 관측을 하는 편인데 그외에는... 그렇게 자주 광축 점검을 할 필요는 없다는게 내 생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축을 조절하는 수많은 방법들이 존재하고 여러가지 툴을 사용하게 된다. 맨눈 체사이어 아이피스 사이트 튜브 레이져 홀로그래픽 레이져 그리고 캣츠 아이??? 고양이눈이라는... 이 제품은 참 특이한 컨셉이다. http://www.catseyecollimation.com/ 홈페이지에 설명이 되어있긴 하나 실제 사용하는 방법은 공부를 해야할..

Takahashi TSC-225...first light

태양돔 옥상에 설치해놓구 온도 안정화 되기를 기다리는 중 팬 2개 가동 ㅎㅎ 토성을 찍어보는데... 우와... 이건 뭐... 정말 만나기 힘든 대박 하늘이다.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왼쪽부터, 달, 목성, 토성이다. 새벽 3시까지 있었으나, 망원경은 이미 온도안정화가 끝났는데 하늘은... 여전히... 살아있다... 행성들 촬영 사진은 별도로 올리기로 한다. 2021년 7월 26일~27일 새벽까지...

Takahashi TSC-225

TSC-225 본격적인 관측을 하기 전에 증명사진이라도 남겨 놓으려고...ㅎㅎ 옆에 스티커는 없다. 일본에 재 도색을 다녀온 녀석... 히스토리가 많은 녀석이다. 대부분의 전 소유주 분들이 다 잘 아는 분들... 별 특색없는 코팅 컬러의 보정판 일반 적인 SCT가 f/10 인것에 비해 이녀석은 f/12이다. 주경 f/ratio가 3, 부경이 4x의 초점거리를 연장해 준다. C, M사의 SCT들이 f/2주경에 5x의 초점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하는것에 비하면... 그래서 필드 커버춰와 코마가 더 적다고는 한다. 화인더는 고정식이고, 뒷쪽 링을 풀고 조정을 한구 링을 잠구면 고정이 되는 형태이다. 접안부는 일반 Takahashi 규격이 아니다. M71x1.0의 규격에 2인치 접안부, 1.25인치 변환이 붙어있..

Takahashi TSC-225 미팅

일본 Takahashi 에서 한정 생산한 Takahashi Schmidt Cassegrain, 구경은 225mm 그래서 이름이 TSC-225 이다. 인터넷에서 퍼온 글... TSC 225 (1989-1991) This telescope is the only one Schmidt-Cassegrain made by Takahashi. The focal ratio is f/12 (f/3 for the primary and x4 for the secondary miroir). This optical design gives less field curvature and less of axis coma than US Schmidt-Cassegrain (which are f/2 x5 = f/10). The schmid..

AstroLapse T-3 Pan

Exosky 에서 개발한 스타 트래커, 타임랩스 장비인데 연구소에서 다른 목적으로구입을 하고, test를 부탁해서 전원을 연결해 보았다. 작은 케이스에 들어있음... 휴대성 좋음... 액정화면이 있어서 세팅값을 바꿀 수 있음 토스트 프로 2의 경우 다이얼을 돌려서 tracking 모드를 바꿀 수 있음 닌텐도에서 사용하는 조이스틱? 눈챠크를 이용해서 세팅값 변경... 수동 조절... 전원 넣고 꽤 오랜 시간을 그대로 두었는데 모터는 1도 회전을 하지 않았다. 그래서 제조사에 문의 후 점검을 부탁드리고 다시 되돌아온 녀석 전원넣으니 모터 돌아가는 소리가 작게 들린다 그전 상태는 모터가 안돌아갔다는 얘기...ㅎㅎ 이렇게나 잘되는 것을...ㅎㅎ 2021년 6월 9일 물품 판매시 최소 동작 정도는 체크하고 보내주..

맥세이프? 전원?

지금 별볼때 주로 쓰고 있는 노트북이... GPD, Lenovo T-431 그리고 맥북 프로 13인치(2015 early?) GPD는 USB-c type 으로 전원을 꼽아놓으면 샤오미 배터리로도 밤새 관측이 가능하지만 화면이 작아서... 가뜩이나 노안이 온 상황... ㅠㅠ; 맥심에서 제어할 수 있는 화소수 제한... 이미지, 제어창, 히스토그램 만으로 꽉찬 화면... 그래도 여전히 컴팩트 하다는 장점이... T-431은 오래된 놋북이긴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관측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노트북... 밤이슬이나 서리를 맞아도 아직 병원 한번 간적이 없는 녀석... 다만 배터리가 오래돼서 최근에 다시 새 배터리로 교체... 이녀석은 20V를 넣어줘야 한다. 파워뱅크에서 가변 전압으로 20V를 넣어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