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Review, Tip... 67

BFL 총정리...

매번 어댑터를 빼놓고 가서 보정거리를 못맞추는 상황이... ㅠㅠ; 이번 기회에 촬영용 장비 BFL을 다 정리를 해놓고...이 글을 보고, 촬영 나가기 전에 한번 체크해보자는 의미로 정리를... Telescope T-1. Takahashi FCT-76T-2. Takahashi FCT-100T-3. Takahashi FCT-125T-4. Takahashi e-180EDT-5. Takahashi MT-160MT-6. GSO 10 RC Camera C-1. QHY 268CC-2. QHY 268MC-3. SBIG ST-8300MC-4. Canon 600D ----------------------------------------------------------------------- T-1 + reducer(전용..

JWST ???

미국의 야심찬 우주망원경이다. James Web Space Telescope HST는 지구 주위를 도는 궤도이고... JWST는 L2에서 시구를 돌면서? 태양을 도는 궤도가 된다. 아래는 JWST소개 홈페이지...(NASA) https://www.jwst.nasa.gov/content/webbLaunch/whereIsWebb.html Where Is Webb? NASA/Webb 'WhereIsWebb' shows the status of Webb on its journey to L2 orbit. The page constantly updates as Webb travels, deploys, and cools to operating temperature. The most recently completed ..

Flattener test

일전에 야외에서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FCT-100하고 FCT-125에 사용할 수 있을지 최종 판단을 하기위해 베란다 테스트를 진행 하고있습니다. .............................................................................. - Telescope : Takahashi FCT-100, f/6.4 - Corrector : William Optics Flattener 68(초기형) - Camera : QHY 268C - Mount : Rainbow Astro RST-135 - Tripod : Photoclam Astro 44 - Guide Telescope : 60mm finder guide - Guide Camera : ZWO ASI 174mm ..

smartphone vs compact digital camera

지난 4월 10일 영양에서... 스마트폰으로 찍어도 별이 보일 정도로 하늘이 깜깜하니 좋다. 그런데... 스마트 폰이 아무리 좋아도... 쪼매난 똑딱이 카메라 하고도 비교도 안된다... 노출시간은 1/4s 아래는 필터 개조한... Canon EOS M 15초 물론 둘이 노출시간이 다르다. 그렇다고 스마트 폰으로 15초 노출을 준다고 저렇게 나올까??? 언젠가는 그런날이 오긴 하겠지??? 2021년 4월 22일... 스마트폰으로 은하수도 찍는 세상... 1999년에 그런일이 있을 것이라고 상상이나 했을까???

세팅 실수...

Canon 600D를 MaximDL에 연동해서 촬영을 시도해보았는데 지난주 영양에서 촬영했던, M106, M81 등의 컬러 정보를 만들어 보고자... 그러나 대 실패... 기본 세팅으로 연결해서 초점과 대상확인후, 가이드 돌려놓고 300초 이상의 노출 제어도 다 USB cable로 제어가 된다. 전에는 30초 이상의 노출시간은 별도의 셔터 케이블이 필요했는데... ㅎㅎ 아무튼, 세팅 끝나고 시퀀스로 촬영을 돌렸는데, 모두 사소한 실수 하나로 데이터가 별로 획득된 것이 없다. 시퀀스에서 카메라 ISO를 1600으로 다시 지정해 주지 않은게 실수... 나중에 보니 auto로 되어있더라는... ㅠㅠ; 그래서 제대로 결과를 얻지 못한 사진들 걍 쭉 리스트업... ㅎㅎ ..........................

FCT-100 vs e-180ED

FCT-100이 f/6.4 라서... 640mm의 초점거리를 가지고 있고 e-180ED는 500mm 의 초점거리이다. 두녀석을 비교해 보기 위해, FCT-100에는 전용 리듀서를 장착 FCT-100에는 QHY 268M을 연결하고 Baader Ha(7nm)를 부착 e-180ED 에는 필터제거한 Canon 600D를 연결... Optolong L-eXtreme filter를 부착 촬영후 R 채널을 추출해서 268M의 영상과 비교를 해보기로 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망원경보다는 카메라의 승리??? ㅎㅎ FCF-100의 결과물 왼쪽이 FCT-100, 오른쪽이 e-180ED FCT-100의 별상... 전용 리듀서 점점 찍어보니 구린 듯 ㅠㅠ; e-180ED의 별상 광축을 대충 맞췄다지만... APS-c siz..

화각이 다른 영상 합성

혹시나 해서 해봤는데 되긴 됩니다. 결과물은, 가장 별상이 안좋은 녀석을 따라가기는 하지만...ㅎㅎ 화일명에서 알 수 있듯이... 좌상단 우상단 좌하단 우하단 Takahashi FCT-100+QHY268C Takahashi e-160+SBIG 8300M Takahashi FSQ106ED+SBIG 8300M combine 된 결과물 우선 픽스 인사이트에서 각각 날짜가 다른 날에 촬영된 영상을 각각 합성하고... 얼라인먼트 기준을 FCT-100으로 촬영된 것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영상들을 정렬... 그리고 합성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센서가 더 큰 268C의 화각이 8300보다 저렇게 더 넓었구나... ㅎㅎ 아무튼 star alignment를 거친후의 영상이다. 화각이 돌아가 있던 픽셀 스케일이 다르던... 일..

영양 밤하늘...

영양이 광해지도상에서도 아주 깜깜한 하늘을 보여주고 있어서 실제 어느정도 인지 궁굼해서 한번 다녀와 봤습니다. 동청송, 영양 IC로 나가야 되는 군요 드디어 봐두었던 곳에 도착 으 추워라...ㅎㅎ 해지는 곳(남서쪽) 고도를 보니 약 10도 정도까지는 고도 확보 포장은 되어 있으나 그늘지는 곳이라 겨우내 눈이 쌓여 있는... 요녀석... 초저녁에...(아직 박명상태) 박명 끝나자 마자... 제일 어두웠을때...19시 30분에 철수한거라... 한밤중에는 더 어두울 듯 휴대폰으로 10초 노출... 광해가 거의 없음... 보통 20.0 정도 나오는 하늘에서 iso800에 10초면 하늘이 밝게 나오는데 진짜 어둡긴 하구나... 샘플 사진은 다음 글에서... 2021년 1월 2일 I Love Youngyang

목성-토성 만남...

Jupiter - Saturn Conjunction 황도상에 있는 행성들이나 달이 만나는 현상들이 가끔 있는데 목성 토성이 아이피스의 한 시야에 들어오는 것은 별보면서 처음 있는 일인 듯 남서쪽 시야가 잘 확보되는 곳을 찾아서 현도쪽으로 나갔다가 자리를 잡았다. 아직 하늘이 밝은 상태에서... 아이피스에 갤럭시 S9 대고 촬영한... 실제로 100배 정도의 배율에서 이렇게 한 시야에 목성과 토성이 들어온다. 아직은 휴대폰 카메라로는 보이지 않는다. 눈으로볼때 이렇게나 가까이 붙어있다. 목성과 토성이 밝기 차이가 꽤 나기때문에... 목성에 노출을 맞추면 토성이 희미하게 보인다. 목성위성인 가니메데도 보인다. 토성의 밝기를 좀더 밝게 레이어 세팅을 하고 나면... 목성 토성의 고도가 낮은 상태에서 미팅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