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Review, Tip... 67

별상 줄이기...

천체사진을 찍다보면, 광학계의 영향, 시상의 영향으로 인해 별이 팅팅 불었다는 표현을 자주 쓰게 된다. 이미지 처리가 좀 후져도 양해하고 보라는 의미와 상통한다. ㅎㅎ 깨알같은 소구경 굴절의 별상과 초점거리가 긴 10인치이상의 RC 경통에서 결상되는 별상과는 비교가 어렵다. 당연히 확대를 많이 했으니 별이 커보일 수 밖에... 그래서 항상 별상 줄이기에대한 유혹이 많았으나 제대로 잘 처리되는 방법이 없어서(요즘에는 XX terminator 같은 프로그램으로도 잘 된다고 한다. but 유료...) 리사이즈후 그냥 posting 하는 편인데... 꽤? 괜찮은 리뷰를 보고 한번 시도를 해 보았다. 방법도 아주 간단하다. pixel math를 활용하므로, 이미지 처리 시간도 아주 빠르다. 다만, 아래의 두 리뷰..

exposure time !

수학적인 결과를얻어서 쓰는 글은 아닙니다. 그저, 단순한? 생각으로 비교만 해봅니다. 1초 노출 100장, 흔히 총 100초 노출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실제로는 영상을 합성할때...sum 하지 않고, avg나 median을 하기 때문에... 사실은 100초 노출이라고 할 수 는 없다. 그럼... 1초 노출 100장 한 것과, 100초 노출 한장 의 영상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그건 바로 아래와 같다. 30초 노출 10장, median combine 300초 노출 한장, 그냥 원본그대로 300초 노출 10장, median combine median 합성하면 아래와 같은 raw file을 결과물로 볼 수 있다. 30초 노출 10장을 median 합성한 영상을 보면, 그냥 30초 노출 한장짜리와 거의 흡사하..

10 inch NWT 광축 조정

광축 조정이 까다롭기로 유명한... Takahashi e-180ED 경통도 손쉽게? 정렬을 했는데 이 오룐 경통은... 부경 고정용 스파이더가 종이짝이다... 렌치를 돌릴때마다, 레이져 포인터가 춤을 춘다. 어느정도 레이져로 정렬을 하고, 별상을 보고 조정을 하다가 구름이 몰려와서 더이상 진행하지 못했다. 마지막 테스트 샷을 날린게, Sirius 인데 R 채널(Ha) 영상만 추출해서 보았다. 구름이 밀려오는 상황이라서, 별 주변은 뿌옇다. 그러나 구석까지 별상은 더 좋아졌다. 스파이더가 갈라지는 것은 4장의 스파이더 블레이드가 직교하지 않아서 이다. 향후, 좀더 두꺼운 스파이더로 교체를 생각해 봐야 겠다. 문제는 flat 영상에서의 비대칭이다. 아직 광축이 제대로 맞지 않은 모양이다. 현 상태에서, 미세..

FCT-100 VS e-180ED

Takahashi FCT-100 하고 e-180 하고 같은 대상을 촬영한 결과물을 비교를 해보았다. 두 영상 모두, 아파트 베란다에서 촬영... 먼저 비교영상을 보면... 왼쪽이 FCT-100 오른쪽이 e-180 음... 구경이 e-180이 더 크고, f/ratio도 더 빠른데, 왜 e-180이 더 어두운 결과를??? 물론 노출시간은 둘다 600s로 동일하고, 히스토그램 스트레치를 거의 비슷하게 한 상황 촬영 카메라가 다르다... 실제 영상아래에 촬영데이터를 표시해 놓았다. - Telescope : Takahashi FCT-100, f/6.4 - Corrector : Takahashi FCT-100 reducer - Camera : QHY 268C - Mount : Rainbow Astro RST-135..